한은 금통위, 올해 마지막 회의 열고 금리 동결 <br />지난 2월부터 7연속 동결…기준금리 3.5% 유지 <br />금통위원 전원 일치로 금리 동결 결정 <br />IT 중심으로 수출 회복세…경기 반등 본격화 아직<br /><br /> <br />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일곱 차례 연속 동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정도로 경기 상황이 좋지 못한 점을 고려한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물가 전망치는 올해와 내년 모두 올렸는데, 그만큼 서민 살림살이가 팍팍해진다는 거겠죠. <br /> <br />취재앤팩트, 경제부 기자와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이형원 기자! <br /> <br />기준금리는 또 동결됐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에도 금리를 연 3.5%로 묶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 마지막 회의를 열고 금리를 동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부터 시작한 금리 동결, 이번이 벌써 7번째인데요. <br /> <br />금통위원 전원이 만장일치로 내린 결정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인상 종료에 대한 의견은 엇갈렸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가운데 2명은 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었는데요. <br /> <br />물가와 성장, 금융 안정을 함께 고려해 추가 인상에 부정적이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반면 나머지 4명은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물가 경로가 상향 조정되고 비용 상승 파급 효과나 국제유가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는 점이 고려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만큼 따져봐야 할 요소가 많은 건데, 이번 동결 결정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 건 뭘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기가 주효했습니다. <br /> <br />IT를 중심으로 수출이 살아나고 있긴 하지만, 경기가 제대로 반등하진 못하고 있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이 총재는 경기 개선 흐름이 이어지겠지만, 불확실성이 높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고 경기만 생각해서 금리를 내리기에는 이미 역대 최대치로 불어난 가계 빚 부담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석 달 연속 오름세인 물가를 자극할 수 있어 금리 인하에는 신중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한미 금리 차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인데요. <br /> <br />2%포인트로 이미 역대 최대 차인 만큼 섣불리 먼저 금리 인하에 나서기는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대내외 상황을 모두 고려해 기존 금리를 유지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 총재도 가계부채 증가세와 높은 대내외 여건 불확실성에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론 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사실 시장 관심은 금리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13013354964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